카테고리 없음

수소연료전지의 핵심! 수전해 기술이란?

e모작 2025. 4. 13. 09:25
728x90
반응형




지속 가능한 미래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는 수소연료전지! 그 중심에는 물(H₂O)을 전기로 분해해 수소(H₂)를 만드는 '수전해 기술'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 수소 사회로 가는 중요한 관문인 수전해 기술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수전해란 무엇인가요?


수전해(물 전기분해)란 물을 전기 에너지를 이용해 수소와 산소로 분해하는 기술입니다.

> H₂O → H₂ + ½O₂



이 간단한 화학 반응을 통해 얻은 수소는 연료전지에 사용되어 다시 전기로 변환되며, 탄소배출 없이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수전해 작동 원리


1. 전해조(Electrolyzer) 구성 요소

양극(Anode): 산소 발생

음극(Cathode): 수소 발생

전해질(Electrolyte): 이온 전달 매개체

전원 공급 장치: 물 분해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



수전해 장치의 구조도 (양극, 음극, 전해질, 전원 연결된 모습)




2. 전기 공급 → 물 분해


전기를 흘려보내면 물이 분해되어 양극에서는 산소(O₂), 음극에서는 수소(H₂)가 발생합니다.




수전해 기술의 종류


1. 알카라인 수전해 (AWE)

가장 오래된 방식

저렴한 비용과 검증된 안정성

하지만 효율이 낮고 반응 속도가 느림


2. 고분자 전해질 수전해 (PEM)

빠른 반응과 높은 순도 수소 생산

소형화 가능, 단가가 상대적으로 높음


3. 고온 수전해 (SOEC)

고온에서 반응 진행 → 전기 소모량 절감

효율은 높지만 상용화는 아직 어려움

AWE, PEM, SOEC 비교표






수전해가 중요한 이유


탄소 없는 수소 생산
(천연가스 개질 방식과 달리 CO₂ 배출 없음)

재생에너지와의 연계 가능
태양광, 풍력 등으로 생산한 전기로 수소 생산 → 그린 수소 생산 가능

에너지 저장의 수단
남는 전기를 수소로 저장 → 필요할 때 다시 전기 생산 가능




실제 활용 사례


독일: 태양광 발전소와 수전해 장비를 연계한 ‘그린 수소 플랜트’ 운영 중

한국: 현대자동차, 두산퓨얼셀 등 국내 기업도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 확대 중


독일의 그린수소 Plant PJT



수전해 기술은 단순히 물을 분해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미래 에너지 전환의 핵심 열쇠가 될 수 있습니다.
탄소중립, 에너지 자립, 그리고 지속 가능한 수소경제로 가기 위한 여정에서 수전해는 없어선 안 될 기술입니다.

앞으로도 수소연료전지와 수전해 관련 소식을 꾸준히 전해드릴게요!


[에너지 스토리 블로그 메인으로 이동하기]
https://energy-story.tistory.com


728x90
반응형